관리 메뉴

Mini

24.11.6. 개발일지 // cloud에 redis 설치, private subnet 본문

DevOps/Redis

24.11.6. 개발일지 // cloud에 redis 설치, private subnet

Mini_96 2024. 11. 7. 00:17

* ssh key forwarding

  • private subnet에 접속하고싶다.
  • key(pem)을 가져가야 되는데 어떻하지?
  • scp로 전송하면 되겠다! -> key를 문앞에 놔두는 꼴 -> 보안 위험
  • 해결 : ssh-add 명령어 => 내 비서에게 key를 맡기고 같이 들어가기!

비밀번호를 안물어본다! (비서가 들고있음)

    • aws는 서버생성시 만든 pem이 자동으로 저장되어있는데, ncloud는 직접 만들어줘야 되는것 같다...
    • root로 접속후, ubuntu user만들고, 비밀번호 접속막고, root 접속막고, 공개키-비밀키 만들고, 공개키를 home/ubuntu/.ssh/authorized_keys에 넣고 비밀키를 내 로컬에 저장해야한다.
    • 일단 비밀키 복붙으로 내 로컬에 옮기기 성공.


ssh 터널링으로 private subnet의 redis-server에 접근!

  • not in the sudoers file error

  • 해결

  • ? 원래 인터넷이 되면 안되는데 왜되는거지??

  • NAT가 만들어져있나?? ㅇㅇ
  • NAT는 공유기랑 유사하다. 나 대신 인터넷을 해줄 친구.
  • 공인 IP도 있어야한다.
  • 우리집 PC(redis-server)에도 공인 IP는 없다.
  • 공유가(NAT)가 공인 IP를 가지고 대신 인터넷을 해주는것이다.

  • 결과 : 외부에서 redis로 접근불가능!, 내부에서는 접근가능! 인터넷도 가능!
  • 아래와 같은 구조가 완성되었다.
  • ws, was는 보통 public에 놓는다. (핀테크의 경우는 private에 놓는경우 있음)

  • 보안서브넷 : 민감정보용, NAT도 안되도록 => 신용카드정보등 법적으로 해야할경우

 

* was에서 redis 연결 test

  • redis-server.conf 수정

  • WAS로부터 오는 방화벽 허용

WAS에서 redis-server에 잘 연결된 모습!

 

 

 

 

 

* 레퍼런스

https://manvscloud.com/?p=713

 

[NCLOUD]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SSH Key 파일로 로그인 & 키 분실 시 트러블슈팅

안녕하세요. ManVSCloud 입니다. 오늘은 Naver Cloud Platform에서 AWS와 접속 방식이 동일하게 설정해보려 합니다. (서버 생성 시부터 키가 생성되는 건 아닙니다…) 전에 이런 질문은 받은 적이 있었는데

manvscloud.com

 

'DevOps > Red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Redis] VPC 구성하기  (0) 2024.11.06